![]() |
청소기 흡입력은 400W이상이면 충분, 필터가 촘촘할수록 소음이 적습니다. |
![]() |
|
흡입력이란?
청소기가 먼지를 빨아들이는 힘인데 단위는 W(와트)입니다. W(와트) 는 진공 청소기를 돌리는 모터의 능력을 나타낸 것으로 초당
회전 수 및 모터가 당길 수 있는 초당 무게를 곱하여 나타낸 수치입니다.
흡입력은 무조건 클수록 좋다??
진공 청소기의 주 용도는 먼지를 빨아들이는 것이므로 어느 정도까지는 흡입력이 큰 제품이 좋지만 무조건 흡입력이 큰 게
좋다고 평가하기는 곤란합니다.
*카페트와 같이 깊숙 한 곳의 먼지까지 빨아들여야 하는 경우: 흡입력이 클수록 좋음
*바닥이나 커튼 등의 부위를 청소할 때: 적은 흡입력으로도 충분
(우리나라 환경 상으로 볼 때, 400W 정도면 충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흡입력이 클 경우 단점:
-많은 전력을 사용
-고소음의 원인
따라서, 최대 흡입력이 일정 수준 이상이고 에너지 효율이 좋으며 필요에 따라 흡입력을 여러 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좋습니 다.
흡입 력을 W단위로 나타내 어 표시하는데, 이것은 진공청소기를 돌리는 모터의 능력을 나타낸 것으로 초당 회전 수 및
모터가 당길 수 있는 초당 무 게를 곱하여 나타낸 것입니다.
※흡입력의 세기 참고
35W : 미세먼지, 머리카락 등 보통의 쓰레기를 흡입 할 수 있는 정도
55W : 쌀알, 모래 등 조금 무거운 쓰레기 등도 흡입 할 수 있는 정도
앞 머리부분 빼놓고, 봉 입구를 손으로 막았다 떼었다를 해보는 것이 확실한 비교 방법 입니다.
|
실제 흡입 력은 제조사에서 내세우는 흡입력 표기에 미 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내 가전 업체의 경우 신제품 출시 때마다 신기능과 흡입력 향상 등의 특성 을 내세우기 때문에 기존 제품과 흡입력이 비슷하지만 신모델 차별화를 위해 실제보다 높게 표기하기도 합니다. 또는, 흡입력 측정 시보다 실제로 바닥에 놓고 사용하면 흡입력이 많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청소 호스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흡입력이 떨어질 수 있는데, 측정 시에는 호스나 브러쉬(흡입구)없이 바로 빨아들이므로 세게 측정됩니다. 각 제조사 별로도 흡입력을 측정하는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
간혹 외국 산 수입제품 등에 있어서 본체에 1,200~1,300W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흡입력으로 오인해서는 안됩니다.
소비전력이나 모터출력을 흡입력인 양 표기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깊게 살펴야 합니다.
외국 수입모델은 흡입력이 아닌 모터 수준(=출력)으로 표기합니다.
우리나라 모델 들의 흡입력 측정 기준과 다르기 때문에 비교 자체가 힘들지만 출력이 1,800~2,000W 정도면 흡입력이 아주 강한
편입니다. 외국에서는 브러쉬를 끼우고 측정하고 국산은 본체만 대놓고 측정하므로 수입제품에 100~150W 정도를 더하면 국산
측정법과 비슷하게 나옵니다.
|
이러한 청소기 들은 보통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있는데, 출력을 1,100W 정도에 놓고 쓰면 500~600W의 흡입력을 갖는 국산 청소기와 같은 수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여기서 표기되는 '출력'은 모터 수준을 가리키는 말로, 소비전력과는 또 다른 개념입니다.
수입제품이 더 튼튼하다고 하고 아무래도 기술적인 차이가 있지만 가격적인 면에서 거의 1.5~2배 정도 차이가 나므로 그런 면에서는 국내 제품이 나을듯 싶습니다. |
FONT>
시중의 진공 청소기의 소음은 60~70dB 정도로 이는 1m 거리의 두 사람이 대화를 주고받는 정도의 소음입니다.
소음이 그 이상되면 사용하는데 거부감을 느끼게 됩니다 . 흡입력이 지나치게 높으면 그만큼 강력한 모터를 사용하게 되므로
소음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소음은 구입 전에 반드시 확인하고 매장에 진열되어 있는 다른 제품들을 작동시켜 보아
소음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B>
|
|
SPAN>
싸이클론 방식의 경우 싸이클론의 모양과 공기의 흐름에 따라 같은 모터를 쓰더라도 흡입력에 차이가 있습니다.
먼지 봉투 방식의 경우 바로 먼지 봉투 뒤에서 모터로 빨아들이기 때문에 모터의 힘이 세면 당연히 흡입력이 커지는데 비해 먼지 봉투가 없는 방식의 경우 그렇지 않습니다.
먼지를 흡입하면 싸이클론에서 원심력을 이용해 먼지만 분리하고 깨끗한 공기는 모터쪽으로 보냅니다.
싸이클론 구조가 엉망이면 분리되지 못한 먼지가 뒤쪽으로 공기와 함께 나가게 되고 그 중간에 있는 프리모터 필터가 막히게 되어 흡입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
|
[다이슨의 루트 싸이클론] |
대부분의 싸이클론 방식이 통안에 에어필터가 있는데 먼지가 쌓이면 막히게 되고 청소를 해줘야 합니다.
수입제품 중 다이슨이 좋다고 하는 이유는 내부에 에어필터가 없습니다. 따라서 항상 같은 흡입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단, 다이슨의 장점은 에어 필터의 유무보다는 싸이클론의 분류 효율의 우수성에 있습니다.
다이슨의 루트 싸이클론이란 구조는 1차적으로 12개의 싸이클론 관을 이용한 강력한 흡입을 하고 2차적으로, 걸러진 먼지의 입자를 0.1마이크론의 크기까지 걸러내며 마지막으로 고청정 영구 HEPA필터에서 미세먼지를 분리함으로써 분리효율을 극한까지 올린 제품입니다.
외국 제품이 튼튼하긴 하지만 쓰다보면 무겁고 소음과 가격도 높은 편이라 실용성은 떨어질 수 있으므로 단점도 함께 고려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